🔥 2025년 삼복더위 완전 정리! 초복·중복·말복의 의미와 복날 보양 음식 추천
‘삼복더위’라는 말, 들어보신 적 있나요? 이는 예로부터 초복, 중복, 말복을 아울러 부르는 말로, 삼복 시기가 1년 중 가장 무덥고 지치기 쉬운 시기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복날의 ‘복(伏)’자는 ‘엎드릴 복’으로, 가을의 기운이 여름의 더위에 굴복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어요.
2025년 현재, 우리는 여전히 이 시기를 ‘보양의 시간’으로 인식하며, 몸을 다스리는 음식과 휴식으로 여름을 이겨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삼복의 유래와, 어떤 음식을 먹으면 좋을지 함께 알아볼까요?
📅 2025년 삼복 날짜는?
2025년 삼복은 아래와 같습니다:
- 초복: 7월 20일 (일)
- 중복: 7월 30일 (수)
- 말복: 8월 9일 (토)
초복과 중복, 말복은 약 10일 간격으로 돌아오며, 올해는 초복~말복까지 정확히 20일 간격으로 ‘매복(每伏)’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삼복의 유래와 의미
삼복은 하지와 입추 사이의 ‘경일(庚日)’에 해당하는 날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경일은 60갑자 중 ‘경(庚)’자가 들어가는 날이며, 이는 오행 중 금(金)에 해당하고 계절로는 가을을 상징합니다. 더위의 기세가 극에 달한 여름에 가을의 기운으로 극복하라는 상징적 의미가 담긴 것이죠.
유래를 살펴보면, 중국 진나라의 덕공이 여름 해충을 방지하기 위해 고기를 제물로 바치고 신하들에게 나누어 먹게 했던 풍습에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동국세시기 등의 고문헌을 통해 이 풍습이 전해졌습니다.
🍲 복날 먹으면 좋은 음식들
삼복더위를 이기기 위해 예로부터 우리는 보양식을 챙겨 먹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복날 음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삼계탕
닭고기와 인삼, 마늘, 찹쌀, 대추 등을 넣고 푹 끓인 삼계탕은 기력을 회복하고 체온을 조절하는 데 탁월한 음식으로 복날 대표 음식입니다.
2. 백숙
삼계탕보다 재료가 단순하지만, 맑은 육수와 부드러운 닭고기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선택을 받는 음식입니다.
3. 장어구이
고단백, 고지방 식품으로 여름철 기력 회복에 좋아 특히 남성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4. 치킨
현대에는 삼계탕 대신 치킨으로 복날을 즐기는 이들도 많습니다. 바삭하고 맛있는 치킨도 복날 대체 메뉴로 인기죠.
5. 초계국수 & 콩국수
시원한 국물과 단백질을 함께 챙길 수 있는 여름 별미로, 무더위에 입맛이 없을 때 가볍게 먹기 좋은 음식입니다.
6. 수박 & 참외 등 제철 과일
조선시대에도 궁중에서는 빙표를 나누어 얼음을 공급했다고 전할 만큼, 더위를 식히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수박, 참외 같은 수분 많은 과일은 현대에도 여전히 인기입니다.
💡 복날 슬기롭게 보내는 꿀팁
- 삼복 기간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중요해요.
- 야외 활동은 오전이나 해 진 뒤로 계획하세요.
- 몸이 더위에 지쳤다면, 보양식과 함께 가벼운 산책이나 스트레칭도 추천!
📌 마무리하며
다가오는 7월 20일은 초복입니다. 더운 여름, 잘 챙겨 먹고 잘 쉬는 것이 가장 큰 지혜입니다. 전통 보양 음식으로 몸도 마음도 재정비하며 무더위를 이겨내 보세요. 중복과 말복에도 건강한 여름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