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압구정 3구역 재건축 대형 소송 예고…2.6조 토지 소유권 분쟁 현실화

by IdleMoney 2025. 7. 26.
반응형

🏙️ 2.6조 원 토지 소유권 분쟁, 압구정 재건축 ‘돌발 변수’ 현실화

압구정

2025년 7월 26일 기준, 서울 강남권 재건축의 ‘최대어’로 불리는 압구정3구역 재건축 사업이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혔습니다. 핵심은 무려 2조 6천억 원 규모의 토지 소유권 분쟁. 등기상 소유권이 서울시와 건설사(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에 걸쳐 있어 대규모 소송전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 사건의 발단: 압구정3구역 9개 필지 소유권 충돌

문제의 중심에는 압구정 현대 6·7차 아파트가 포함된 압구정동 9개 필지(462, 462-1, 462-2, 464, 464-1, 465, 466, 467-2, 478번지)가 있습니다. 이들 필지에 대한 소유권을 따져본 결과, 현대건설은 약 7941평, HDC는 약 942평, 서울시는 약 1408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시가로 무려 약 2조 59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그러나 이들 필지에 대해 조합이 확인한 결과, 지분 합산이 10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과거 1970년대 현대건설이 압구정 아파트지구를 개발할 당시, 지분 정리가 명확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울시에 기부채납까지 진행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소송 불가피… 서울시·현대건설 vs 조합 ‘법정 다툼’ 예고

압구정3구역 재건축 조합은 서울시와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을 상대로 소유권 이전 등기 소송을 준비 중입니다. 이로 인해 토지 지분 정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대규모 소송전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서울시도 이에 대해 “시의 재산을 대상으로 한 소송이라면 응소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혀, 조율보다는 법적 대응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비 업계는 “문제가 된 토지 중 일부는 공공용 행정재산이 아닌 일반재산으로 확인되며, 그에 따른 법적 시효 취득 여부도 주요 쟁점”이 될 것이라며 복잡한 법리 싸움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합니다.

🧾 등기 오류와 소유권 혼란, 시스템 과거의 유산

압구정동 이미지

이번 사태는 디지털화 이전, 수기로 진행되던 등기 절차에서 행정착오가 누적된 결과로 보입니다. 조합은 현대건설이 기부채납한 토지 자체가 ‘소유권이 불분명한 땅’이라며, 현대건설이 소유하지도 않은 땅을 서울시에 넘긴 셈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와 현대건설 측은 “정확한 사실 파악 후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이며, 지분 관계 정리가 필요한 경우 재건축 사업비에서 현금 청산 방식으로 조정하겠다는 가능성도 언급됐습니다.

⏳ 재건축 일정 지연 불가피?

서울시는 “조합 설립 요건인 75% 주민 동의율을 확보했기에 지연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정비 업계는 소송이 길어질 경우 사업 지연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현재 조합은 소송비용을 우선 부담하고, 추후 수익자 부담 방식 또는 공공사업비로 처리할 방침입니다.

🏗️ 압구정3구역의 개발 가치와 계획

압구정3구역은 강남 압구정 재건축의 핵심으로, 4065가구가 최고 70층, 5175가구 규모의 초고층 브랜드 타운으로 탈바꿈할 예정입니다. 중심 입지에 위치한 만큼 개발 가치가 높아,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재건축 수주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 현대건설·HDC의 딜레마, 서울시의 입장

만약 현대건설이나 HDC가 해당 토지를 무상으로 넘긴다면, 경영진 배임 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 적극적인 법적 대응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가 패소할 경우 현대건설·HDC를 상대로 다시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처럼 이해관계자들이 얽혀 사태가 다자간 소송전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결론: 압구정 재건축, ‘명품 브랜드 타운’ 앞에 놓인 복잡한 고비

압구정3구역 재건축은 강남권 최고 입지와 초고층 단지 조성 계획으로 대한민국 재건축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토지 소유권 이슈는 50년 가까운 세월의 행정적 흔적이 빚은 복잡한 난제입니다. 서울시, 건설사, 조합 모두가 물러설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법원의 판단에 따라 수년간 사업 일정이 좌우될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앞으로 소송 결과와 서울시의 협의 의지, 건설사들의 전략적 대응이 압구정 재건축의 운명을 결정짓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