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5년 중산층 내 집 마련, 왜 더 어려워졌을까?

by IdleMoney 2025. 7. 27.
반응형

🏠 2025년 중산층의 내 집 마련, 가능할까?

요즘 부동산 뉴스를 보면 한숨부터 나옵니다. 청약 쏠림 현상에 이어 아파트 공급 양극화까지 심화되고 있습니다.

📉 아파트 공급도 양극화…청약 기회마저 불균형

2025년 5월, 전국 민간 분양 아파트 공급은 고작 5,690가구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61.9% 급감한 수치입니다.

서울은 예외적으로 1,766가구가 공급돼 작년보다 269% 급증했지만, 전국 17개 시도 중 10곳은 단 한 가구도 분양되지 않았습니다.

📊 지역별 분양 현황 (2025년 5월)

지역 분양 가구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서울 1,766가구 +269%
기타 10개 시도 0가구 -100%
전국 합계 5,690가구 -61.9%

💸 분양가는 오르고…중산층은 멀어진 내 집 마련

전용면적 59㎡ 기준, 전국 평균 분양가는 약 4억 8,473만 원이고, 서울은 무려 12억 3,332만 원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23.87% 상승한 수준입니다.

전용 84㎡ 아파트는 서울에서 16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 전용면적별 평균 분양가

지역 59㎡ 84㎡
서울 12억 3,332만 원 16억 원 이상
전국 평균 4억 8,473만 원 정보 미공개

📉 ‘내 집 마련 기간 단축’? 착시에 불과한 수치

2025년 3분기 기준, 서울에서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아파트를 사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년 2개월입니다. 이는 PIR(Purchase to Income Ratio,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11.2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 서울 PIR 추이

연도 PIR 수치 의미
2019년 3분기 10.8 코로나 이전 최저
2022년 2분기 14.8 역대 최고
2025년 3분기 11.2 고소득자 중심 PIR 하락

하지만 이 수치는 평균 연소득 8,236만 원인 가구 기준입니다. 고소득자만이 대출 문턱을 넘을 수 있기에, 중산층의 현실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 내 집 마련은 이제 ‘소수 특권’이 되어가는 중

  • 청약은 인기 단지 중심으로만 몰려 실수요자 탈락
  • 주택 공급 불균형으로 지방은 기회조차 없음
  • 분양가 급등으로 실거주 소형도 접근 불가
  • 대출 규제는 저소득층에게 불리하게 작용

💡 지금 필요한 건? 중산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

정부는 지금이라도 중산층을 위한 실효성 있는 주거 정책을 내놓아야 합니다.

  • ✅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 대상 저금리 대출 확대
  • ✅ 중소형 아파트 분양 물량 확대
  • ✅ 지역 균형 개발 통한 청약 기회 분산
  • ✅ 분양가 상한제 합리화 및 실거주자 우선 정책 강화

🔚 마무리: 내 집 마련의 희망, 사라져서는 안 됩니다

2025년 중산층에게 내 집 마련은 점점 더 멀어지는 꿈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분양가 폭등, 공급 불균형, 대출 장벽 등은 이들을 벼랑 끝으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주거는 투기의 수단이 아니라 삶의 기반입니다.”

중산층이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주택 시장, 그 시작은 지금 정부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반응형